자동차세의 종류와 세금을 절약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목차
1. 자동차세란?
2. 자동차 구매 시 발생하는 세금
3. 자동차 보유 시 발생하는 세금
4. 자동차세 절약하는 방법은?
1. 자동차세란?
자동차세는 지방세에 속하며, 보통 자동차를 소유할 경우 부과되는 조세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자동차를 소유하면서 발생하는 세금은 총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바로 차량을 구매할 때 발생하는 세금과
차량을 등록할 때 발생하는 세금,
마지막으로 차량을 보유할 때 발생하는 세금입니다.
각 세금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차량을 구매할 때 발생하는 세금으로는 개별소비세, 교육세, 부가가치세가 해당하며,
차량 등록 시 발생하는 세금에는 취득세와 공채매입비가 포함됩니다.
마지막으로 차량을 보유하고 있는 도중에
납부해야 하는 세금으로는 자동차세와 지방교육세가 발생하게 됩니다.
2. 자동차 구매 시 발생하는 세금
- 개별소비세, 교육세, 부가가치세
중고차가 아닌 새 차량을 구매하는 경우라면 개별소비세, 교육세, 부가가치세를 반드시 납부하셔야 하는데요.
모두 새 차를 구매할 경우,
단 한 번만 납부하면 되고, 차량 구매 시 차량 가격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개별소비세는 차량 출고가의 5%에 해당하며,
자동차와 같은 사치재를 구매할 때 내야 하는 세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교육세는 개별소비세의 30%를 추가로 납부해야 하는 세금이며,
부가가치세는 차량 출고가, 개별소비세, 교육세를 포함한 금액의 10%를 납부해야 합니다.
자동차 등록 시 발생하는 세금 - 취득세, 공채매입비
취득세는 차량의 재산을 취득할 때 내야 하는 세금으로 차량의 가격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요.
일반 차량은 7%, 경차 4%, 영업용 차량 5%, 이륜차 2%의 세율을 적용합니다.
공채매입비는 차량을 등록할 경우 반드시 사들여야 하는 준조세의 지자체 발행 채권으로서 차량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3. 자동차 보유 시 발생하는 세금
- 자동차세, 지방교육세
신규 차량을 보유하게 될 경우, 자동차세와 지방교육세를 매년 6월과 12월에 걸쳐 총 두 번 납부하여야 하는데요.
자동차세는 자동차의 배기량에 맞춰 cc당 세액이 정해지며, 영업용 차량 여부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이때 차량의 생산년도에 따라 할인을 받을 수 있고,
자동차세를 연납할 경우 최대 10%의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방교육세는 지방교육재정 확충에 필요한 세금을 납부하는 것으로 자동차세의 30%에 해당하는 비용을 납부하셔야 합니다.
4.자동차세 절약하는 방법은?
자동차세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우선 배기량이 적은 자동차를 구매하는 것이 좋은데요.
배기량이 적을수록 차량 구매 시 납부하는 개별소비세와
자동차 보유 시 발생하는 자동차세, 지방교육세 등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차량을 장기간 보유할수록
차량의 생산연도가 오래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자동차세의 할인율이 높아지게 됩니다.
자동차세는 연납하는 경우,
10%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매년 납부 기한을 지켜 연납하는 것이 좋은데요.
마지막으로 차량 등록 시 부과되는 준조세의 공채매입비는
사들인 후 보유하기보다 할인받아 판매하여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자동차세의 종류와 이를 절약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보았는데요.
자동차를 구매하고 보유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세금에 대해 이해하고
체납 없이 깔끔한 납부를 지속하길 바랍니다.
'일상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조기폐차 지원금 금액 및 세제 해택 (1) | 2025.04.03 |
---|---|
2025년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한 4등급 경유차도 지원금 (3) | 2025.04.01 |
경기도 부천·성남·시흥·이천 4개 지역, 과학고 신설 확정 (0) | 2025.03.01 |
운동화 세탁과 황변 제거를 위한 실전 가이드 (3) | 2024.10.12 |
MS 워드에서 단락기호(화살표) 표시 없애기 (0) | 2024.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