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계설계/Machine57 유량(Flow rate)에 대해 유량(Flow rate)의 개념에 대해서 공부하고자 합니다. 목차 1. 유량의 개요 2. 관로 내 유체의 흐름 1) 층류와 난류 2) 유속분포와 평균유속 3) 레이놀즈수 1. 유량의 개요유량(Flow rate)이라 함은 유체의 흐름 중 일정 면적의 단면을 통과하는 유체의 체적, 질량 또는 중량을 시간에 대한비율로 표현한 것을 유량이라 칭하며 각각 유체의 체적을 시간에 대한 비율로 표시한 유량을 체적유량 (용적유량), 유체의 질량을 시간에 대한 비율로 표시한 질량유량, 유체를 일정시간 동안 흐르는 량을 표시한유량을 적산유량이라 칭한다. ① 체적유량 : Q = A.v [㎥/s] ② 질량유량 : M = Q.ρ = A.v.ρ [kg/s] ③ 중량유량 : W = Q.ρ.g = A... 2025. 4. 12. 스프링 설계의 계산식 LCA(로우 코스트 오토메이션)에서 스프링 설계 대상은 대부분 압축 코일 스프링이거나 인장 코일 스프링입니다. 2종류의 스프링 설계에서는 아래와 같은 항목이 검토 과제입니다. a) 사용 범위에서의 휨 양과 이 때의 스프링 하중: 스프링 정수b) 스프링을 설치하는 장소의 공간: 길이x외형c) 스프링 고정 방법: 스프링의 양끝 형상과 고정 방법d) 기타: 스프링 변형(영구 변형), 피로 1. 스프링 정수와 스프링 형상 치수의 관계식 스프링 휨과 이 때의 스프링 하중(힘)의 관계는 「압축 코일 스프링에 가해지는 하중과 변형의 관계(스프링 설계-3)」에서 해설한 「훅의 법칙」이 있습니다. P = k x δ P: 스프링 하중 k: 스프링 정수 δ: 스프링의 휨(변형량) 「k: 스프링 정수」는 스.. 2025. 4. 7. kW를 kVA로 변환하는 법 kW를 kVA로 변환하는 법 kW는 전기 회로에서 실제 작업을 수행하는 전력량이며 kVA는 피상 전력을 의미하며 실제 전력과 무효 전력을 모두 포함하는 총 전력이다. kVA 는 아래 식과 같이 실제 전력 kW를 역률(Power Factor)로 나눈 값과 같다. kVA = kW / pf 발전기와 같이 유도 특성을 갖는 전기 시스템에서 실제 전력과 피상 전력이 동일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실제 전력은 항상 피상 전력과 같거나 작다. 피상 전력은 시스템에 전달되어야 하는 전압과 전류의 크기로 계산하며 일반적으로 변압기 발전기 는 피상 전력을 표기한다. 위 식에서 피상 전력에 대한 실제 전력의 비율을 역률이라고 하며 ac회로에서 역률은 0~1 사이 값을 가진다. 모든 전력이 실제 전력이 없는 무효 전력인 경.. 2025. 4. 1. 인화점(Flash Point)과 발화점(Ignition Point)의 차이 인화점(Flash Point)과 발화점(Ignition Point)의 차이 1. 인화점 인화점은 외부로부터 불씨를 접촉하여 연소를 개시할 수 있는 최저온도로서 가연성증기를 발생할 수 있는 온도를 말한다. 즉, 인화가 일어나는 최저의 온도이다. 인화점은 주로 상온에서 액체상태로 존재하는 인화성 물질의 연소하기 쉬운상태의 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2. 발화점 발화점(착화점, 착화온도, 발화온도)은 자기 스스로 연소를 시작하는 최저온도로서, 공기 중에 놓여있는 연료가 가열되어 불씨를 접촉하지 않아도 연소를 개시할 수 있는 최저온도를 말한다. 발화온도가 낮다는 것은 연소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 발화점은 물질을 가열하는 용기의 표면상태, 가열속도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압력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 2025. 4. 1. 이전 1 2 3 4 ··· 15 다음 반응형